니트생활자

  • 기부금 영수증 발급 가능
    i
  • 5년차
  • 국내
  • 청년
  • 중년
  •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 성장
  • 양질의 교육
평균 문의 답변 시간
30분 이내
문의 가능 시간
10시 ~ 18

다음세대재단다음세대재단 선정

🍊 오렌지 코멘트!

전문가가 남긴 해당 조직에 대한 코멘트입니다.

  • 1

    교육, 고용, 훈련에 참여하지 않는 ‘니트 청년’들의 자립을 돕는 단체

  • 2

    19~39세의 니트 청년 2천여 명을 대상으로 고립과 은둔을 예방하는 커뮤니티 프로그램 제공

무업기간 사회적 단절로 인해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예방하는 안전망을 마련합니다.

🌟 비전
누구나 경제활동 여부와 관계없이 사람들과 안전하게 연결되고,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꿉니다.
⚡️ 미션
우리는 연결된 니트(NEET)의 가능성을 믿고, 다양한 삶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듭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불황, 지속적인 취업실패, 불안정한 고용형태, 착취와 경쟁의 열악한 노동환경 등 다양한 환경으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니트 상태가 됩니다. 하지만 니트의 원인을 개인의 무능력, 무기력 문제로 보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청년들은 무기력, 외로움, 우울함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2024년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청년은 40만명으로 사회적 고립의 위기에 놓여 있지만 사회적 안전망은 부족합니다. 기존의 취창업 훈련 중심의 지원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도와 삶의 과정을 상호 지지해줄 수 있는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사업 내용

2023
데이터 출처
i
전체 공익목적사업 개수
4개
전체 사업 수행 비용
6,215만원
사업 수행 비용
1억원

OOO 프로젝트

  • 자생식물 보호를 위해 실질적인 보호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젝트
  •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자생식물의 중요성과 기후변화의 영향을 알림
사업 수행 비용
5,000만원

기본 정보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길 5
SNS
설립년월일
2021.03.24
사업 지역
국내
법인 유형
-
고용직원수
3명
자원봉사 연인원 수
-
이사 수
5명자세히보기
대표자
  • 박은미
  • 전성신

SDGs

  • 8.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 성장
  • 4. 양질의 교육

메인 SDGs 세부 목표

  • 8.6
    2030년까지 고용, 교육 또는 훈련 상태에 있지 않은 청년 비율을 상당 수준으로 감소

사업 대상

서울시 청년 기본조례 및 기타 지자체 조례에 따른 19세~39세 중 NEET 상태 경험 중인 청년

전문성/역량

🕵️‍

전문 강사진

현직으로 활동하는 전문성이 높은 식물 강사진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양한 경험

프로그램 300여개를 진행하였고 기업 및 지자체와의 협업 운영 경험이 있습니다.

니트생활자가 함께하고 싶은 기관

  • 🗣️ 청년 커뮤니티에 관심있는 기업

  • 🏘️ 청년 커뮤니티가 활용가능한 공간을 가지고 있는 기관 및 기업

  • 🧩 청년의 고립 은둔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계획 중인 지차체

  • 🤹 청년 감수성을 기반으로 한 기획 행사 및 사업을 하고 싶은 기업

파트너 기관

👀 파트너 기관 정보를 확인하시겠어요?

재무 정보(2023)

정보 업데이트 2024. 7. 18

사업 수익


6억
사업 수익 예시

사업 수익 중 기부금 수익


5억
사업 수익 중 기부금 수익 예시

총 비용


7.5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