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섬즈업

  • 기부금 영수증 발급 가능
    i
  • 3년차
  • 국내(무인도를 포함한 전국의 모든 도서지역)
  • 일반 시민
  • 공익활동 관련 조직·단체
  • 해양 생태계 보호
  • 불평등 완화

루트임팩트루트임팩트 선정

🍊 오렌지 코멘트!

전문가가 남긴 해당 조직에 대한 코멘트입니다.

  • 1

    섬 지역 해양환경 정화 전문 단체

  • 2

    파타고니아, 비오템, KT&G 등의 기업과 자원봉사 활동 경험 보유

매달, 다량의 해양쓰레기가 쌓여 방치되어 있는 섬으로 찾아가 정화활동을 합니다.

🌟 비전
- 섬 지역 해양환경 정화를 통한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보존 - 해양쓰레기 사각지대에서의 활동을 통한 인식 전환 및 행동 변화 유도 - 섬 주민의 주거복지 환경 개선과 지역 시설 활용을 통한 공동체 형성
⚡️ 미션
섬은 해양쓰레기가 대양으로 나가기 전 마지막으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쓰레기가 가장 먼저 쌓이는 곳이자 방치된 공간이 많습니다. 더 미세하기 분해되기 전에 해양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겠습니다.

사단법인 섬즈업은 2017년부터 전국의 해양쓰레기가 많은 섬에서 정화활동을 하는 단체로 2018년 임의단체, 2021년 비영리민간단체를 거쳐 2022년 비영리 사단법인 인가를 받았습니다. 지금까지 전국 60여 개의 섬에서 누적 2,000여명의 자원봉사자가 함께 하였고, 130명의 정기후원자분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매달 정기적으로 30-40여 명의 봉사자들과 매달 세번째 주 토-일, 1박 2일간 활동합니다. 섬은 육지의 해양쓰레기들이 모두 모이는 곳으로, 대양으로 나가 미세플라스틱 혹은 완전분해 되기 전 수거할 수 있는 마지막 장소입니다. 섬에는 많은 해양쓰레기가 쌓이고 방치되지만 경제적 비용과 물리적 시간, 예산부족 등으로 제때 수거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3,400여 개의 섬에서 활동을 할 때마다 매 순간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해양쓰레기를 모두 수거할 수는 없습니다만, 이미 발생된 쓰레기를 섬에서라도 적기에 수거한다면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섬에서 머무는 이틀 동안 마을에서 운영하는 식당과 숙박시설(어촌체험마을 등)을 이용하고, 둘레길을 걷거나 마을 해설사에게 설명을 들으며 섬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경제 및 관광 활성화에 보탬이 되고자 합니다.

사업 내용

2023
데이터 출처
i
전체 공익목적사업 개수
0개
전체 사업 수행 비용
0원
사업 수행 비용
1억원

OOO 프로젝트

  • 자생식물 보호를 위해 실질적인 보호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젝트
  •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자생식물의 중요성과 기후변화의 영향을 알림
사업 수행 비용
5,000만원

기본 정보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1나길 5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 7층 S714, S715호
SNS
설립년월일
2023.06.26
사업 지역
국내(무인도를 포함한 전국의 모든 도서지역)
법인 유형
-
고용직원수
-
자원봉사 연인원 수
300명
이사 수
4명자세히보기
대표자
  • 윤승철

SDGs

  • 14. 해양 생태계 보호
  • 10. 불평등 완화

사업 대상

해양환경에 관심 있는 누구나

전문성/역량

🕵️‍

전문 강사진

현직으로 활동하는 전문성이 높은 식물 강사진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양한 경험

프로그램 300여개를 진행하였고 기업 및 지자체와의 협업 운영 경험이 있습니다.

사단법인 섬즈업이 함께하고 싶은 기관

  • 🛳️ 도서지역 해양 정화 활동에 관심 있는 기업/기관 및 단체

  • 🎋 섬에서의 사회공헌 활동이나 반려섬을 가꾸고 싶은 기업

  • 🐋 도서지역 해양환경과 활성화에 관심 있는 지자체 및 기관

  • 🌱 섬 지역 주민을 위한 봉사활동이 가능한 단체 및 기관(연계활동_의료/미용/가전수리 등)

파트너 기관

👀 파트너 기관 정보를 확인하시겠어요?

재무 정보(2023)

정보 업데이트 2024. 7. 18

사업 수익


6억
사업 수익 예시

사업 수익 중 기부금 수익


5억
사업 수익 중 기부금 수익 예시

총 비용


7.5억